안녕하세요 이슈애널리스트입니다.
오늘은 7급공무원 및 7급공무원 시험과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7급공무원 시험
7급공무원은 채용 인원이 (9급에 비해) 매우 적고, 붙기도 그만큼 더 어렵습니다.
일단 과목 수부터 9급은 5과목인데 비해 7급은 7과목입니다.
합격선이 9급보다 꼭 높지는 않지만, 합격선이 낮다고 결코 더 쉬운 것이 아닙니다.
9급과 같은 과목이라도 시험 범위는 더 넓고 깊기도 한데요
7급공무원은 대학교 교양 수준의 학설도 출제 범위에 포함되는데,
출제 교수가 생각하는 '학부'의 수준에 따라 수준이 전공 수준으로 지엽적으로 나오는 경우도 존재하며
9급과는 천지차이로 어려워진다고 합니다.
국어 과목의 한자의 경우 9급은 단어 단위로 나오지만 7급은 문장 단위까지 나온며
국어뿐만 아니라 행정법에서도 같은 판례를 9급에서는 무슨 판례인지 바로 인지할 수 있게 내지만,
7급 행정법에서는 문장을 더욱 길고 꼬아서 출제하며,
행정학의 경우에는 지엽적인 숫자 문제들이 9급 행정학보다 많이 나옵니다.
7급공무원 시험과목
행정직 (일반 행정) |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상황판단영역, 영어(영어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 한국사 (한국사능력 검정시험으로 대체) |
헌법, 행정법, 행정학, 경제학 | 전 부처 |
세무직 (세무) |
" | 헌법, 세법, 회계학, 경제학 | 국세청, 그 밖의 수요부처 |
전산직 (전산 개발) |
" | 자료구조론, 데이터베이스론, 소프트웨어공학, 정보보호론 |
전 부처 |
7급공무원시험과목은 직렬(직류)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예시로 나와있는 일반행정, 세무, 전산개발 이외에도
다른 직렬(직류)들이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시험공고문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양성평등채용목표제 및 지방인재채용목표제가 적용되며, 국가유공자·자격증소지자에게는 가산특전이 있습니다.
- 한쪽 성(性)의 합격자 비율이 30%미만일 경우, 지방학교 출신 합격자 비율이 30%미만일 경우에는 일정기준 범위내 에서 목표비율만큼 추가로 선발합니다.
- 지방인재가 채용목표인원(합격예정인원의 30%)에 미달할 경우, 일정기준 범위내에서 추가로 선발합니다.
- 국가유공자 등에게는 5~10%의 가산점이 부여되며, 분야별 자격증소지자에게는 과목별 만점의 일정비율(3%~5%)의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한눈에 정리하기
- 7급공무원 시험과목은 7과목이다.
- 7급공무원 시험은 1차 필기와 2차 필기로 나뉜다.
- 국가유공자와 분야별 자격증소지자에게는 과목별 만점의 일정비율(3%~5%)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같이 읽으시면 좋은 글
- 2022년도 기사 정기 시험일정 안내 및 기사 응시자격
7급공무원 및 7급공무원 시험과목을 공유해보았습니다.
7급공무원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